부동산

당신의 부동산 투자 계획을 3단계로 정리해보자

yougoup 2024. 10. 10. 01:17

부동산 투자를 시작하는 당신을 위해
투자 계획 3단계를 정리해보았다. 
아래 설명은 아파트 투자를 위주로 적었다. 


1단계. 내 투자금 파악

 - 종자돈과 연 저축액을 적어보자. 종자돈+연저축액=연 투자 가능액

 - 1년 뒤 나의 투자 가능액인 연 투자 가능액을 적는다.

 - 내 자산을 주거비를 깔고 앉을 것인가 투자로 활용할 것인가 정한다. 

   내집 마련 시 자가 거주를 통해 안정감은 들지만 매월 원리금을 상환하느라 저축하기 힘들어서 종잣돈 만드는데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자금에 여유가 있어서 내집마련을 하고도 종자돈이 있다면 내집마련을 먼저 해도 좋다. 한편, 종자돈이 부족해서 돈을 불려야 하는 경우  실거주는 월세나 전세로 해결하고 나머지 돈으로 투자를 해야 한다. 이 경우 '올바르게 투자한다면' 자산을 불려나갈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임차인이므로 자주 이사를 가는 등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거주 안정이 정말 중요한 사람이라면 내집 마련을 우선 해야 한다. 입지가 정말 좋은 곳으로 내집 마련을 한다면 충분히 수익을 낼 수 있다. 사실 내집마련이든 투자든 그 형식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내용(저평가된 물건 투자하기)이 중요하다. 두 형식 모두 투자해서 수익을 내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문제는 당신이 저평가된 물건 찾을 수 있는지 여부이다. 저평가된 물건을 찾으려면 다음 단계인 임장을 철저하게 해야 한다. 


2단계. 투자지역 찾고 임장하기

 - 내가 투자할 후보 지역을 여러개 적어본다. 그리고 언제 어디를 임장할지 계획을 세운다. 부동산은 행정 정보가 중요하므로 행정단위인 구단위로 임장할 지역을 정한다. 

 - 각 구별로 평일(출퇴근 시간)과 주말(낮시간)에 어떤 사람들이 사는지 알아보기 위해 주요 상권을 돌아본다. 동네를 구분해보고 동네별로 장단점을 정리하자. 

 - 평일과 주말에 아파트 단지 둘러보자. 단지별로 무기를 정리하자. 초등학교 가까운 단지(가족단위 거주 많음), 지하철역 가까운 단지(출퇴근 직장인 많음) 등 단지마다 가지고 있는 무기가 다르다. 그리고 지역 안에서 단지 선호도 순위를 매겨보자. 마지막으로 순위별로 매매가를 확인하고 내가 생각한 순위랑 매매가 순위가 다른 경우 부동산에 (지혜롭게) 물어보자. 


3단계. 임장지역 정리하고 시세를 트래킹하다가 싼 물건 매수하기

 - 임장 후에는 내용을 정리해서 내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시세를 계속 파악하고 있어야 물건을 잡을 수 있다. 

 - 시세 파악 중 좋은 매물인데 싸게 나온 매물이 있다면 현장에 가서 확인한다. 시장 분위기가 안좋아서, 주인이 사정이 급해서 등 다양한 이유로 가치는 있지만 싸게 나오는 물건이 있다. 

 - 더 돈을 모아서 큰거 투자하려고 미루지 말고 투자를 진행해야 내 실력이 늘어난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물대장 찾는 방법  (0) 2025.02.09
아파트 입주가 많은 지역에 기회가 있다.  (0) 2024.12.16